
| 이코노미사이언스 박성현 기자 |
NH투자증권이 최근 미공개정보 이용 의혹으로 불거진 내부통제 논란에 선제적으로 대응했다. 회사는 임원의 국내 상장주식 매수를 전면 금지하고, 사장 직속의 태스크포스를 통해 임직원 계좌 전수조사에 착수했다. 투자은행 부문 중심으로 강화된 관리체계를 구축해 이해상충 여지를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윤병운 NH투자증권 사장이 이날 오전 전 임원을 대상으로 비공개 회의를 열어 임원의 우리나라 상장주식 매수를 전면 제한한다고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NH투자증권 사규상 임직원이 우리나라 주식을 본인 연봉 한도 내에서 매매가 가능했던 기존 방식에서 전면 금지하는 것으로 조치를 취한 것이다.
특히 사내 내부통제 시스템을 정비하면서 직무와 관련한 이해상충 소지를 차단하겠다는 의미로 볼 수 있고, 최근 NH투자증권 내 임직원의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로 압수수색을 받은 것에 따른 후속 조치로 해석된다.
앞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산하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이 지난달 28일, NH투자증권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이는 지난 7월 임직원이 공개매수 과정에서 취득한 정보를 주식 투자에 이용한 혐의가 있다고 보고 진행한 것에 이어서 한 것이다. 해당 임원은 NH투자증권이 주관한 공개매수 11건 관련 중요 정보를 주변에 전달해 약 20억 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이로 인해 지난달 30일 NH투자증권이 사장 직속의 내부통제 강화 태스크포스 팀(실무단)도 신설했다. 윤 사장이 직접 맡아 임직원의 증권계좌를 전수조사하고 내부통제 체계에 빈틈이 없었는지 자체 점검을 실시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물론, 당국의 조사가 진행 중인 해당 임원에 관해서 담당 직무에 배제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