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각 사 CI)  
(사진 = 각 사 CI)  

| 이코노미사이언스 박성현 기자 | 

조각투자 장외거래소 인가전이 막판 구도에 들어섰다. 31일 예비인가 접수 기간 종료일이 도래하면서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한국거래소(KRX), 넥스트레이드(NXT), 루센트블록을 중심으로 한 ‘3파전’ 구조가 사실상 형성됐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조각투자 서비스가 규제 샌드박스 단계를 넘어 정식 인가 체계로 편입되는 첫 제도권 관문이라는 점에서 관심이 쏠린다.

금융위원회는 조각투자 시장의 초기 규모와 유동성 집중 필요성을 감안해 인가 대상을 최대 2곳으로 한정했다. 인가 요건에 미달할 경우 2곳 미만으로 결정할 수 있다는 점도 명확히 했다. 심사 방식은 인터넷은행·부동산신탁 인가 때와 동일하게 외부평가위원회 일괄심사 방식이 적용되며, 컨소시엄 참여·중소기업특화증권사 참여·신속한 서비스 개시 역량에 가점을 부여한다.

업계에서는 이번 인가가 단순 조각투자 시장 진입을 넘어, STO(증권형 토큰) 시장으로 향하는 초기 인프라 구축 단계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디지털 자산 기반 금융 서비스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기술 인프라·실거래 데이터·확장성이 주요 평가 기준으로 부각될 것이란 분석이다.

이 가운데 넥스트레이드(NXT) 컨소시엄은 민간 중심 기술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확장성을 강점으로 평가받는 분위기다.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코리아에셋증권과 함께 조각투자 1세대로 꼽히는 뮤직카우가 참여했다. 업계 관계자는 “디지털 증권화 환경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거래·보관·정산 등 전주기 처리 능력과 실제 조각자산 유통 데이터가 중요해진다”며 “민간 플랫폼이 초기 확장성과 속도 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한국거래소(KRX) 컨소시엄은 제도권 중심 안정성을 앞세운다.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메리츠증권 등 대형 증권사들이 대거 참여했으며, 자회사 코스콤의 STO 공동 플랫폼 구축 경험도 강점으로 평가된다. 초기 시장 안정성과 규제 친화성을 중시하는 관점에서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루센트블록 진영은 샌드박스 기반 운영 경험과 기존 발행 자산을 신속히 이관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운다. 하나증권 등 다수 증권사와 협력하며 실제 발행·유통 경험에서 오는 가점 요건 충족 가능성이 거론된다.

금융당국은 “조각투자 시장의 건전한 정착과 투자자 보호가 최우선”이라는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번 인가가 조각투자 발행(2-14)·유통(2o-14) 체계 정착과 디지털 증권 전환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조각투자 플랫폼이 본격 가동될 경우 실물자산형 토큰과 금융자산형 토큰의 경계가 점차 흐려지는 시장 전환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조각투자 플랫폼은 향후 STO 통합 시장으로 향하는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규제 준수 역량과 함께 기술기반 민간 플랫폼의 속도·데이터·확장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예비인가 결과가 내년 초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금융당국은 구체적인 일정에 대해선 말을 아끼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